본문바로가기

고품질 안전 농산물 생산을 위한 차별화된 영농 솔루션을 제공합니다

작물보호제의 이해

작물보호제 포장지(라벨) 확인
작물보호제 포장지(라벨)에는 개발 및 시험 과정을 통해 검증된 효과적인 사용방법 및 사용량, 주의사항, 중독 시 해독방법 등이 종합적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.
포장지의 표기 내용을 잘 지켜 사용하면 충분한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고, 잔류 우려가 없는 깨끗하고 우수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.

안전사용기준

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, 작물별 작물보호제의 살포횟수와 수확 전 최종 살포시기(일수)를 제한하는 기준입니다.
우리나라는 새로운 작물보호제를 등록하거나 적용 작물을 추가 등록할 때 반드시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해야 합니다.

취급제한기준

취급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운송 조건, 공급 대상자, 사용 대상자, 사용 지역 등을 제한하는 기준입니다.

포장지(라벨) 주요 표시 사항

독성, 상표명 및 품목명, 약제의 용도, 안전사용기준 및 취급제한기준, 적용대상 및 사용방법, 성분 함유량, 용량, 주의사항, 제조(수입) 회사명 등이 표기되어 있습니다.

출처 및 참고 : 농촌진흥청, 한국작물보호협회

작용기작 확인

작물보호제 포장지(라벨) 왼쪽 상단에 표기된 작용기작을 확인해 저항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
약제별로 대상 병해충 · 잡초에 작용하는 원리가 동일한 작물보호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특정 기호를 부여하고, 그 기호를 작물보호제 포장지에 표시해 기호만으로도 약제의 작용기작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.

예를 들어 베노밀과 티오파네이트메틸(지오판)은 계통 분류상 각각 벤지미다졸계, 카바메이트계로 다르지만, 병원균에 작용하는 기작은 세포분열 저해로 같아 저항성 관리적 측면에서는 같은 계통(나1)입니다.

한 가지 작물보호제를 계속 사용하면 내성 또는 저항성이 나타나므로, 제품 포장지의 작용기작을 확인하여 계통이 다른 작물보호제를 사용해 방제 효과를 높여야 합니다.

[작용기작 표시방법]

작물보호제 제품 왼쪽 상단의 작용기작을 확인하세요.

작용기작별 분류번호가 다른 제품을 선택, 번갈아 사용해 약제 저항성을 방지하세요!

작물보호제 사용 시 주의사항

약효∙약해∙안전에 관한 주의사항

  • ① 작물보호제 사용 전에 표기내용을 잘 읽고, 표기내용 표시사항 이외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.
  • ② 적용 대상 작물과 병해충 · 잡초 이외에는 사용하지 마시고,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을 지켜 사용하십시오.
  • ③ 작물보호제를 정해진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「농약관리법」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되며, 직불금 수령 등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④ 작물보호제를 살포할 때에는 방제복, 보안경, 마스크,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바람을 등지고 뿌리십시오. 작업 후에는 입안을 물로 헹구고 손, 발, 얼굴 등을 비눗물로 깨끗이 씻으십시오.
  • ⑤ 신체에 이상(감기, 알레르기, 임신, 천식, 피부병 등)이 있을 때는 약제 살포 및 취급을 금합니다.
  • ⑥ 살포 작업은 한낮 뜨거운 때를 피하여 아침, 저녁 서늘할 때 하십시오.
  • ⑦ 제품을 개봉할 때 신체(눈, 코, 피부 등)에 내용물이 묻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.
  • ⑧ 작물보호제를 섞어 뿌리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당해년도에 ㈜팜한농에서 제공한 혼용기술정보를 확인하여야 하며, 혼용이 불가능하거나 혼용기술정보에 없는 경우에는 절대로 섞어 뿌리지 마십시오.
  • ⑨ 이상 기후(강우, 가뭄, 온도, 태풍 등) 병해충·잡초 다발생, 저향성 발현, 토양, 농업용수, 약제 보관 조건 등 다양한 상황에 의해 예상치 못한 약효, 약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사용에 주의하십시오.
  • ⑩ 살포 전·후 살포기를 반드시 씻으시고, 사용 후 남은 희석액과 살포기를 씻은 물은 하천 등에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안전하게 처리하십시오.

보관 시 주의사항

  • ① 작물보호제를 어린이 손이 닿는 곳에 놓거나 보관하지 마십시오.
  • ② 작물보호제는 의약품, 식료품 또는 사료의 보관 장소와 구분하여 보관하십시오.
  • ③ 작물보호제는 잘 밀봉한 뒤 햇빛을 피하여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십시오.
  • ④ 작물보호제는 다른 용기에 옮겨 보관하지 마십시오.

중독 시 주의사항

  • ① 중독 증상이 있을 때에는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안정을 취할 것이며 의사의 지시를 받으십시오.
  • ② 작물보호제를 잘못하여 섭취하였을 경우 억지로 구토시키지 말고 즉시 의사의 치료를 받으십시오.
유투브 카카오톡 통합검색 TOP